[IEC 60601-1:2012]에 명시된 요구사항 중에서, 본 프로젝트와 관련된 요구사항에 대한 처리는 다음과 같다:

6.1. 필수성능의 위험관리

소프트웨어의 필수성능과 이에 대응하는 위험관리는 다음과 같다:

No.필수성능위험관리
1초음파 하드웨어에서 생성된 초음파 이미지의 표시5. FMEA > RK_ IM_DISP

6.2. 기대서비스기간

소프트웨어는 Window11 기반으로 개발되므로, 기대서비스기간은 Windows11 서비스 기간과 동일하다.

소프트웨어는 [PF-SSADM-SDP]의 8. 레거시 소프트웨어에서 Windows 11 서비스가 종료할 경우, 새로운 버전의 Windows 운영체계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해 명시한다.

6.3. 표식

표식과 이에 대응하는 위험관리는 다음과 같다:

No.표식위험관리
1소프트웨어 버전5. FMEA > RK_ SW_VER

6.4. 음향에너지

음향에너지와 이에 대응하는 위험관리는 다음과 같다:

No.음향에너지위험관리
1음향 에너지 및 진동에 대한 인체 노출이 허용할 수 없는 위험을 초래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5. FMEA > RK_AE_US
2해당되는 경우, 제조자는 위험관리 프로세스에서 초저주파 또는 초음파와 관련된 위험을 다루어야 한다.

6.5. 위험한 출력에 대응하는 보호

위험한 출력과 이에 대응하는 위험관리는 다음과 같다:

No.위험한 출력위험관리
1해당되는 경우, 제조자는 안전 한계를 의도적으로 초과함으로써 발생하는 위험한 출력과 관련된 위험을 위험관리 프로세스에서 처리해야 한다.TBD (하드웨어에 의한 출력 제한)
2해당되는 경우, 제조자는 위험관리 프로세스에서 위험한 출력을 표시할 필요성을 언급해야 한다.5. FMEA > RK_AE_US
3ME기기가 다양한 치료에 대해 저강도 ​​및 고강도 출력을 모두 제공하도록 설계된 다목적 장치인 경우, 제조자는 위험관리 프로세스에서 실수로 과도한 출력 값을 선택하는 것과 관련된 위험을 다루어야 한다.Not Applicable
4해당되는 경우, 제조자는 위험관리 프로세스에 잘못된 출력과 관련된 위험을 해결해야 한다.TBD (하드웨어에 의한 출력 감시)

6.6. 프로그램 가능 의료용 전기 시스템 (PEMS)

6.6.1. 일반

PEMS 일반에 대응하는 위험관리는 다음과 같다:

No.프로그램 가능 의료용 전기 시스템위험관리
1PEMS 개발 수명 주기 전체에 걸쳐 프로세스를 따르고 해당 프로세스의 기록(RECORD)을 작성해야 함을 요구한다.[PF-SSAMD-SDP]에서 명시함.
2PESS 내에서 위험통제 조치가 구현된 경우, PESS의 실패가 허용할 수 없는 위험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본 조항을 적용해야 한다.5. FMEA에서 명시함
3제조자가 기원이 확인되지 않은 소프트웨어 (SOUP), 비의료적 출처의 하위 시스템, 레거시 기기와 같은 PEMS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B.14에 명시된 모든 프로세스를 따르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이 경우 제조자는 추가 위험통제 조치의 필요성을 특별히 고려해야 한다.5. FMEA ID에서 명시함 RK_WINDOWS_AUTO_UPDATE RK_LITEDB_FUNC RK_FODICOM_FUNC RK_DEBUG_FUNC RK_LOKI_FUNC RK_JSON_FUNC RK_USB_AUTO_RUN RK_PRINTER RK_NETWORK_PORT
4본 조항에서 요구되는 문서는 공식적인 문서 관리 절차에 따라 검토, 승인, 발급 및 변경되어야 한다.[PF-SSAMD-SDP]에서 명시함.
5위험관리 계획에는 PEMS 검증 계획에 대한 참조도 포함되어야 한다.[PF-SSAMD-STP]에서 명시함.

6.6.2. 문서화

PEMS 문서화에 대응하는 위험관리는 다음과 같다:

No.프로그램 가능 의료용 전기 시스템위험관리
1PEMS 개발 수명 주기는 문서화되어야 한다.[PF-SSAMD-SDP]에서 명시함.

6.6.3. 위험관리 계획

PEMS 위험관리 계획에 대응하는 위험관리는 다음과 같다:

No.프로그램 가능 의료용 전기 시스템위험관리
1위험관리 계획에는 PEMS 밸리데이션 계획에 대한 참조도 포함되어야 한다.[PF-SSAMD-SVP]에서 명시함.

6.6.4. 개발 수명 주기

PEMS 개발 수명 주기에 대응하는 위험관리는 다음과 같다:

No.프로그램 가능 의료용 전기 시스템위험관리
1PEMS 개발 수명 주기는 문서화되어야 한다.[PF-SSAMD-SDP]에서 명시함.
2PEMS 개발 수명 주기에는 일련의 정의된 이정표가 포함되어야 한다.[PF-SSAMD-SDP]에서 명시함.
3각 이정표에서 완료해야 할 활동과 해당 활동에 적용할 검증 방법을 정의해야 한다.[PF-SSAMD-SDP]에서 명시함.
4각 활동은 투입물과 산출물을 포함하여 정의되어야 한다.[PF-SSAMD-SDP]에서 명시함.
5각 이정표는 해당 이정표 전에 완료되어야 하는 위험관리 활동을 식별해야 한다.[PF-SSAMD-SDP]에서 명시함.
6PEMS 개발 수명 주기는 활동, 이정표, 일정을 세부적으로 기술한 계획을 수립하여 특정 개발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PF-SSAMD-SDP]에서 명시함.
7PEMS 개발 수명 주기에는 문서화 요구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PF-SSAMD-SDP]에서 명시함.

6.6.5. 문제해결

PEMS 문제해결에 대응하는 위험관리는 다음과 같다:

No.프로그램 가능 의료용 전기 시스템위험관리
1해당하는 경우, PEMS 개발 수명 주기의 모든 단계와 활동 안에서 또는 사이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문서화된 시스템을 개발하고 유지해야 한다.[PF-SSAMD-SDP]에서 명시함.

6.6.6. 위험관리 프로세스

PEMS 위험관리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위험관리는 다음과 같다:

No.프로그램 가능 의료용 전기 시스템위험관리
1제조자는 알려지거나 예측 가능한 위험 목록을 작성할 때, 제조자는 PEMS와 IT-NETWORK의 결합, 타사에서 제작한 구성요소의 결합 그리고 레거시 하위시스템의 결합과 관련된 것을 포함하여 PEMS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측면과 관련된 위해요인을 고려해야 한다.5. FMEA에서 명시함
2적절하게 검증된 도구와 절차는 각 위험 통제 조치를 구현하기 위해 선택되고 식별되어야 한다. 이러한 도구와 절차는 각 위험 통제 조치가 식별된 위험을 만족스럽게 줄이는 데 적합해야 한다. PEMS와 각 하위 시스템(예, PESS)에 대해서는 문서화된 요구 사항 사양이 있어야 한다.5. FMEA에서 명시함

6.6.7. 요구사항 문서

PEMS 요구사항 문서에 대응하는 위험관리는 다음과 같다:

No.프로그램 가능 의료용 전기 시스템위험관리
1PEMS와 각 하위 시스템(예, PESS)에 대해서는 문서화된 요구 사항 사양이 있어야 한다.[PF-SSAMD-SRS]에서 명시함
2시스템이나 하위 시스템에 대한 요구 사항 사양에는 해당 시스템이나 하위 시스템이 구현한 필수성능과 위험통제 조치가 포함되고 구별되어야 한다.5. FMEA에서 명시함

6.6.8. 아키텍처

PEMS 아키텍처에 대응하는 위험관리는 다음과 같다:

No.프로그램 가능 의료용 전기 시스템위험관리
1PEMS와 각 하위 시스템의 경우, 요구 사항 사양을 만족하는 아키텍처를 명세해야 한다.  [PF-SSAMD-SWA]에서 명시함

6.6.9. 설계와 구현

PEMS 설계와 구현에 대응하는 위험관리는 다음과 같다:

No.프로그램 가능 의료용 전기 시스템위험관리
1해당하는 경우, 설계는 하위 시스템으로 분해되어야 하며, 각 하위 시스템은 설계 문서와 테스트 문서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한다.[PF-SSAMD-SDS], [PD-SSAMD-STP]에서 명시함
2설계 환경에 대한 설명적 데이터는 문서화되어야 한다.[PF-SSAMD-SDP]에서 명시함

6.6.10. 검증

PEMS 검증에 대응하는 위험관리는 다음과 같다:

No.프로그램 가능 의료용 전기 시스템위험관리
1기본안전, 필수성능 또는 위험통제 조치를 구현하는 모든 기능은 검증해야 한다.[PF-SSAMD-STP], [PD-SSAMD-STR]에서 명시함
2검증 계획은 이들 기능이 어떻게 검증되는지 볼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한다.[PF-SSAMD-STP], [PD-SSAMD-STR]에서 명시함

6.6.11. 밸리데이션

PEMS 밸리데이션에 대응하는 위험관리는 다음과 같다:

No.프로그램 가능 의료용 전기 시스템위험관리
1PEMS 밸리데이션 계획에는 기본안전 및 필수성능의 밸리데이션이 포함되어야 한다.[PF-SSAMD-SVP]에서 명시함
2PEMS 벨리데이션에 사용된 방법은 문서화되어야 한다.[PF-SSAMD-SVP], [PD-SSAMD-SVR]에서 명시함
3PEMS 밸리데이션은 PEMS 밸리데이션 계획에 따라 수행되어야 한다. PEMS 밸리데이션 활동의 결과는 문서화되어야 한다.[PF-SSAMD-SVP], [PD-SSAMD-SVR]에서 명시함
4PEMS 밸리데이션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을 지는 사람은 설계 팀과 독립적이어야 한다. 제조자는 독립 수준에 대한 근거를 문서화해야 한다.[PF-SSAMD-SDP]에서 명시함
5PEMS 밸리데이션 팀원과 설계 팀원 간의 모든 전문적인 관계는 위험관리파일에 문서화되어야 한다.[PF-SSAMD-SDP]에서 명시함

6.6.12. 수정

PEMS 수정에 대응하는 위험관리는 다음과 같다:

No.프로그램 가능 의료용 전기 시스템위험관리
1설계의 일부 또는 전체가 기존 설계의 수정으로 인해 발생한 경우, 본 조항의 전체가 새로운 설계인 것처럼 적용되거나, 이전 설계 문서가 계속해서 유효한 것(the continued validity)으로 적용할 지는 문서화된 수정/변경 절차에 따라 평가되어야 한다.[PF-SSAMD-SDP]에서 명시함

6.6.13. IT-네트워크

PEMS IT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위험관리는 다음과 같다:

No.프로그램 가능 의료용 전기 시스템위험관리
1PEMS가 PEMS 제조자가 검증하지 않은 IT-NETWORK에 결합되도록 의도된 경우, 제조자는 다음을 포함하여 이러한 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해야 한다:
– IT-NETWORK에 대한 PEMS 연결 목적
– PEMS를 통합하는 IT-NETWORK의 필수 특성
– PEMS를 통합하는 IT-NETWORK의 필수 구성
– 보안 사양을 포함한 PEMS의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기술 사양
– PEMS, IT-NETWORK 및 IT-NETWORK의 다른 장치 간의 의도된 정보 흐름과 IT-NETWORK를 통한 의도된 라우팅
– IT-NETWORK에 연결하는 PEMS의 목적을 충족하는 데 필요한 특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데 따른 위험한 상황 목록
[PF-SSAMD-SRS], 5. FMEA에서 명시함
2제조자는 첨부 문서에서 책임 있는 조직에 다음 사항을 지시해야 한다:
– 다른 기기를 포함하는 IT 네트워크에 PEMS를 연결하면 환자, 조작자 또는 제3자에게 이전에 확인되지 않은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 책임 있는 조직은 이러한 위험을 식별, 분석, 평가 및 통제해야 한다.
– IT 네트워크에 대한 후속 변경은 새로운 위험을 도입하고 추가 분석이 필요할 수 있다.
– IT 네트워크에 대한 변경 사항은 다음을 포함한다:
> IT 네트워크 구성의 변경
> IT 네트워크에 추가 항목 연결
> IT 네트워크에서 항목 분리
> IT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 업데이트
> IT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업그레이드.
[PF-SSAMD-SDP]에서 명시함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